Original research articl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1 August 2024. 186-195
https://doi.org/10.7745/KJSSF.2024.57.3.186

ABSTRACT


MAIN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기상자료 수집 및 풋거름 작물 재배

  •   시험 장소의 풋거름 작물 재배기간 기상 상황

  •   풋거름 작물 생육 조사

  •   식물체 시료 채취 및 분석

  •   통계분석

  • Results and Discussion

  •   파종 시기에 따른 풋거름 작물 입모율과 월동 후 생존율

  •   파종 시기에 따른 풋거름 작물 초장과 생육 속도

  •   파종 시기에 따른 수확기 건물중 및 양분 생산량

  •   파종 후 기온과 수확기 풋거름 작물 생산량

  • Conclusions

Introduction

북한의 농경지는 기후와 토양조건에 의하여 작물 생산성이 떨어진다 (Park et al., 2018).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에서 연평균강수량은 1,306 mm인 것에 비하여 북한은 912 mm로 낮고, 연평균 기온은 우리나라에 비하여 약 3 - 4°C 낮다 (KMA, 2023). 토양은 모래 함량이 많아 양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낮고, 유기물의 함량과 유효 토심이 낮아 벼를 재배하기 열악한 환경이다 (Ryu, 2000). 또한 비료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원료나 에너지의 조달이 어렵기 때문에 공장을 가동하지 못하고 있으며, 생산시설이 낡아 에너지 효율이 낮으며 경제성도 떨어진다. 2022년에는 총 68만 2,000톤의 화학비료를 조달하였으며 이는 전년도에 비하여 9.7% 감소하였고, 연간 소요량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적은 양이다 (Kim and Lee, 2022).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식량 위기에 대한 우려가 상승하고 있으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급격한 경제침체로 식량 위기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Kim and Lee, 2022). 따라서 화학비료의 사용을 대신하여 토양 생산성 향상을 위한 증진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Lee et al., 2023).

풋거름 작물은 휴경기 동안 토양 양분을 체내에 축적할 수 있어, 토양에 혼입 시 작물 성장을 위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헤어리베치는 근류균에 의한 질소 고정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지상부의 질소함량이 3 - 4%로 다른 풋거름 작물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Kim, 2023). 또한 토양에 환원하면 쉽게 분해되어 무기태 질소를 공급하기 때문에 질소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DA, 2023). 호밀은 예취 후 토양에 혼입시켜 주면 유기물 자원 공급과 물리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Repullo et al., 2021). 또한 호밀은 내한성이 높아 동절기에 재배가 가능하며, 산간 지역이 많은 북한에서 토양 및 양분의 유실을 막아주는 역할도 가능하다 (Kim et al., 2023). 따라서 비료의 보급이 어려운 북한의 실정에서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사용은 화학비료를 대체하고 토양의 비옥도를 증진시켜 현재 북한의 식량 위기에 대처하는 적절한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헤어리베치는 10월 상순, 호밀은 11월 하순까지도 파종이 가능하다 (RDA, 2022). 파종시기는 작물 생육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이므로, 북한의 낮은 동절기 기온을 고려한 적정 파종시기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풋거름 작물의 생육과 양분 생산량을 고려하여, 북한 지역과 인접해 기후특성이 비슷한 우리나라 북부지역에 적합한 풋거름 작물의 적정 파종 시기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기상자료 수집 및 풋거름 작물 재배

우리나라 북부지역에 적합한 풋거름 작물 적정 파종 시기를 선발하기 위하여 황해도와 기후특성이 비슷한 북부 내륙지역인 (NGII, 2020)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창동로 유기 재배 논 토양 (Table 1)에서 2021년 9월 7일 - 2022년 5월 17일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시험 장소의 기상 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상청 국가 기상종합정 기후자료에서 재배 장소와 가장 인접한 기상관측소가 존재하는 철원을 선정하여, 풋거름 작물의 파종 시기 선발을 위해 최저 기온과 일 평균 기온, 일 강수량 자료를 2021년 9월 7일 - 2022년 5월 17일까지 내려받아 사용하였다 (KMA, 2024). 풋거름 작물로 헤이리베치는 청풍보라, 호밀은 곡우 종을 사용하였으며, 파종 시기는 2021 - 2022년에 걸쳐 (2021년 9월 7일, 9월 17, 9월 27일, 10월 7일, 10월 17일, 10월 27일, 11월 27일, 12월 7일, 2022년 2월 27일, 3월 17일) 총 10회에 나누어 파종하였다. 파종량은 4.2 m2 당 호밀과 헤어리베치를 구분하여 각각 2립씩 점파하여 각각 52립 파종하였다. 처리구는 완전임의난괴법을 사용하여 3반복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2021년 9월 7일 파종을 시작으로 2022년 5월 12일 전량 수확하여 작물과 양분 생산량 측정에 이용하였다.

Table 1.

Soil characteristics at the experimental site.

pH EC
(dS m-1)
T-N
(g kg-1)
T-C
(g kg-1)
Av. P2O5
(mg kg-1)
Exch. cations (cmolckg-1)
K Ca Mg
7.1 0.3 1.7 19.9 255 0.6 10.9 0.7

시험 장소의 풋거름 작물 재배기간 기상 상황

시험 장소의 풋거름 작물 재배기간인 2021년 9월 7일 - 2022년 5월 17일 일 평균 기온 및 일 강수량은 Fig. 1과 같다. 또한 본 시험 장소인 철원과 기후 특성이 비슷한 황해도 지역의 재배기간 평균 기온은 5.8, 6.2°C로 비슷하였으며, 전국 평균 기온인 8.9°C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강수량은 두 지역 모두 전국 일 평균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철원 지역은 2021년 10월 17일 기준으로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sssf/2024-057-03/N0230570305/images/ksssf_2024_573_186_F1.jpg
Fig. 1.

Weather condition during green manure cultivation period at the test site and average temperature in hwanghae-do and Korea.

풋거름 작물 생육 조사

우리나라 북부지역 기상 상황에 적합한 풋거름 작물 파종 시기를 선발하기 위하여 파종 시기별 입모율, 월동 후 생존율과 초장을 조사하였다. 입모율은 입모립수를 파종립수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입모립수는 파종 후 10일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파종 후 30일에 조사된 성적을 사용하였다. 생존율은 월동 후 생존립수를 입모립수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2022년 4월 7일부터 10일 간격으로 총 3번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다만 입모하지 못한 처리구의 생존율 측정은 월동 직후 발아한 개체들에 한하여 입모립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월동 후 초장은 작물 10개체의 초장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초장 생육 속도는 4월 7일부터 27일까지 자란 초장 길이 (cm)를 측정하여 성장 기간인 20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식물체 시료 채취 및 분석

풋거름 작물의 바이오매스 생산량과 양분 공급량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리구별로 전량 수확하여 생체중을 측정하고 70°C에서 2일 이상 건조한 무게를 건물중으로 하였다. 건조된 시료는 원소분석기 (Elementar, Variomax, Germany)를 이용하여 총 질소 (total nitrogen, T-N)를, 50% 과염소산과 황산으로 습식 분해 후 UV-Vis 분광광도계 (Analytikjena, SPECORD-200 PLUS, Germany)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Vanadate 법으로 총 인산 (total P2O5, T-P)을, 50% 과염소산과 황산으로 습식분해 후 ICP-OES (GBC Scientific Equipment, INTEGRA XL DUAL, Australia)를 이용하여 총 칼륨 (total K2O5, T-K)을 측정하였다. 토양으로의 양분 공급은 풋거름 작물이 성장하며 토양으로부터 흡수한 양분이 예취 후 다시 토양으로 환원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양분의 공급량은 풋거름 작물 건물중에 T-N, T-P, T-K (%)를 곱하여 산출하였다.

통계분석

실험 데이터의 통계분석은 SPSS를 이용하였다. 처리 간의 효과는 분산분석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수행하였으며, 5% 유의수준 (p < 0.05)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를 이용하였고, 파종 후 기온과 생산량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파종 시기에 따른 풋거름 작물 입모율과 월동 후 생존율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파종 시기에 따른 입모율과 월동 후 생존율 측정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입모율은 2021년 10월 27일 이전 파종에서는 76.7 - 91.0%, 81.1 - 89.5%로 높게 나타났지만, 두 작물 모두 10월 27일 이후 파종에서는 입모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11월 27일과 12월 7일에 파종한 헤어리베치와 호밀은 발아되지 않아 입모 또한 진행되지 못하였다.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재배 가능 1월 최저 기온은 각각 -20°C, -10°C이다 (Kim et al., 2015). 하지만 본 연구의 시험 기간 중 1월의 최저 기온은 -20.1°C로 재배 가능 기온보다 낮은 기상 상황을 보여, 북부 지역에서 늦은 겨울의 파종은 풋거름 작물의 입모에 불리한 조건으로 판단된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월동 후 파종 시기별 생존율 측정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헤어리베치는 2021년 9월 27일 이전 파종하였을 경우 90 - 100%로 월등하였고, 10월 7일 - 12월 7일에 파종하였을 경우 0 - 61.1%로 저조하였다. 호밀은 10월 27일 이전 파종에서 82.2 - 98.9%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11월 27일 파종한 경우 58.9%로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11월 27일과 12월 7일에 파종한 경우 입모는 못하였지만, 월동 직후 발아한 개체들의 생존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월 27일 늦은 겨울에 파종한 경우 입모율은 다소 낮았지만, 해빙 기간으로 접어들어 입모한 개체들의 생존에는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파종 시기별 헤어리베치의 생존율을 분석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최저 기온이 9월에 9°C, 10월에 0°C로 겨울이 될수록 급격히 낮아지는 ‘Minnesota Roseau’ 지역에서 8월 20일에 파종한 헤어리베치의 생존율은 73.4%, 9월 4일은 52.3%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Wiering et al., 2018). 또한 파종 시기별 월동 후 호밀의 생존율을 분석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월동기에 가깝게 파종된 호밀의 월동 후 생존율이 감소한다는 결과도 있었다 (Fowler, 1982). 본 연구에서도 파종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생존율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북부지역에서 풋거름 작물 파종 시 월동 후 생존율을 고려하여 헤어리베치는 9월 27일 호밀은 10월 27일 이전 파종이 월동 후 생존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Seedling emergence rate and winter survival rate of hairy vetch and rye by sowing date.

Plant Sowing date Emergence rate after 30 days
(%)
Survival rate after wintering
(%)
Hairy
vetch
Autumn 7 Sept 91.0a1 100.0a
17 Sept 83.1a 91.1b
27 Sept 85.6a 90b
7 Oct 90.4a 61.1c
17 Oct 76.7a 0
27 Oct 76.7a 0
Winter 27 Nov 0 31.1d2
7 Dec 0 1.1 e2
27 Feb 53.2b 100 a
Spring 17 Mar 80.8a -3
Rye Autumn 7 Sept 83.3ab 98.9 a
17 Sept 81.1ab 98.9ab
27 Sept 89.5a 98.9a
7 Oct 82.7ab 91.1b
17 Oct 88.3a 88.9c
27 Oct 85.0ab 82.2.0a
Winter 27 Nov 0 58.9e2
7 Dec 0 90d2
27 Feb 73.1bc 100d
Spring 17 Mar 64.1c -3

1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05.

2The green manures sown on November 27th and December 7th did not emerge before wintering, so the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with the emerged rate after wintering.

3No data means that results do not exist because spring sowing do not include wintering period.

파종 시기에 따른 풋거름 작물 초장과 생육 속도

풋거름 작물의 초장과 생육 속도를 조사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헤어리베치는 2021년 9월 27일 전 파종에서 초장은 47.5 - 53.9 cm, 초장 증가 속도는 1.69 - 2.02 cm day-1였고, 이후 파종에서는 초장이 6.4 - 33.2 cm, 증가 속도는 0.25 - 1.24 cm day-1로 낮게 나타났다. 호밀의 경우 2021년 10월 7일 전 파종에서 초장은 101.5 - 122.7 cm, 증가 속도는 3.73 - 4.29 cm day-1였으며, 이후 파종은 초장이 15.0 - 56.9 cm, 증가 속도는 0.53 - 2.23 cm day-1로 저조하였다. 파종 시기별 베치류와 호밀류의 생장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초장은 월 평균 기온이 14.2°C로 높은 10월 파종에 비하여 8.1°C로 낮은 11월 파종에서 낮게 나타났다 (Kir, 2021). 본 연구 결과 또한 월 평균 기온이 20°C로 높은 9월 파종에 비하여 11°C로 낮은 10월 파종에서 풋거름 작물의 초장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헤어리베치는 9월 27일, 호밀은 10월 7일보다 늦은 시기는 평균 기온이 낮아 작물의 초장이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북부지역보다 평균 기온이 높은 남부지역에서 진행된 파종 시기별 풋거름 작물의 초장을 비교한 선행연구에서 9월과 10월에 파종한 호밀의 초장이 각각 141, 143 cm로 비슷하였다 (Lim et al., 2011). 하지만 본 연구에서 호밀은 122.7, 101.5 cm, 헤어리베치는 52, 33.2 cm로 9월보다 10월에 파종한 풋거름 작물의 초장이 짧아, 지역별 기온 상황에 따른 파종 시기별 풋거름 작물의 생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헤어리베치는 9월 27일, 호밀은 10월 7일 이전 파종으로 초장이 길어지는 안전한 성장을 통해 추후 생장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3.

Overwinter height and growth speed of hairy vetch and rye by sowing date.

Plant Sowing date Height Growth speed
(cm day-1)
7 Apr 17 Apr 27 Apr
(cm) (cm) (cm)
Hairy vetch Autumn 7 Sept 13.51 31.2 53.9a 2.02a
17 Sept 15.5 27.7 52.0ab 1.83ab
27 Sept 13.7 29.1 47.5b 1.69b
7 Oct 8.4 21.6 33.2c 1.24c
17 Oct -2 - - -
27 Oct - - - -
Winter 27 Nov - 4.4 10.3d 0.52d
7 Dec - - - -
27 Feb 2.2 4.4 8.0d 0.29e
Spring 17 Mar 1.5 4.6 6.4d 0.25e
Rye Autumn 7 Sept 40.2 82.7 117.7a 3.88a
17 Sept 36.9 79.2 122.7a 4.29a
27 Sept 28.9 64.8 104.6b 3.79a
7 Oct 26.9 62.6 101.5b 3.73a
17 Oct 11.0 30.6 53.0c 2.10b
27 Oct 12.4 31.6 56.9c 2.23b
Winter 27 Nov 5.5 10.4 17.0d 0.58c
7 Dec 4.4 8.6 15.0d 0.53c
27 Feb 6.7 12.3 18.8d 0.61c
Spring 17 Mar 6.0 11.3 17.0d 0.55c

1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05.

2No data means observation results do not exist.

파종 시기에 따른 수확기 건물중 및 양분 생산량

풋거름 작물의 건물중 및 양분 생산량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헤어리베치의 건물중은 2021년 9월 27일 이전 파종에서 1,831 - 2,295 kg ha-1, 호밀은 10월 7일 이전 파종에서 1,978 - 3,823 kg ha-1로 높게 나타났다. 풋거름 작물의 파종 시기별 생장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파종 시기가 빨라질수록 엽면적지수 (LAI)가 높아짐에 따라 광합성량이 높아 생장량이 증가하였고 (Kwon and Kim, 1995), 헤어리베치의 건물중은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10월 파종에 비하여 9월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기 때문에 (Akbari et al., 2019),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남부지역의 풋거름 작물 적정 파종 시기를 선정한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남부지역에서 헤어리베치는 10월 15일 이전, 호밀은 11월 8일 이전, 파종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지만 (Lim et al., 2011; Lim et al., 2014), 재배기간 평균 기온이 남부지역보다 5°C 이상 낮은 북부지역에서는 헤어리베치가 9월 27일, 호밀은 10월 7일 이전 파종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작물의 건물중이 증가함에 따라 양분 공급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에서 사용된 논 토양의 벼 재배에 필요한 질소 공급량은 97 kg ha-1이다. 헤어리베치를 9월 27일 이전 파종할 경우 질소 공급량은 65.2 - 88.6 kg ha-1로 기준량의 67 - 91% 필요량을 대체시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후 파종에서는 0 - 24.5 kg ha-1로 기준량의 0 - 25%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호밀의 10월 7일 이전 파종에서 질소 공급량은 27.6 - 42.4 kg ha-1로 기준량의 28 - 44%를 대체시켰고, 이후 파종에서는 0 - 24.5 kg ha-1로 기준량의 1 - 26%로 저조하였다. 인산과 칼륨도 질소 공급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헤어리베치는 9월 27일, 호밀은 10월 7일 이전 파종이 이후 파종과 비교하여 양분의 공급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4.

Biomass and nutrient contribution of hairy vetch and rye by sowing date.

Plant Sowing date Dry matter
(kg ha-1)
N3
(kg ha-1)
P2O53
(kg ha-1)
K2O3
(kg ha-1)
Hairy vetch Autumn 7 Sept 2,295 a1 88.6 a 17.6 63.3
17 Sept 2,176 a 81.4 a 14.5 63.3
27 Sept 1,831 b 65.2 b 13.1 54.0
7 Oct 633 c 24.5 c 4.3 20.7
17 Oct -2 - - -
27 Oct - - - -
Winter 27 Nov 38 d 1.7 d 0.2 1.4
7 Dec - - - -
27 Feb 104 d 4.8 d 0.7 4.0
Spring 17 Mar 57 d 2.4 d 0.5 2.6
Rye Autumn 7 Sept 3,823 a 42.4 a 12.1 75.2
17 Sept 2,838 b 30.7 b 8.8 44.5
27 Sept 2,635 bc 30.2 b 7.6 41.2
7 Oct 1,978 c 27.6 bc 8.8 47.4
17 Oct 907 de 17.9 cde 4.3 25.5
27 Oct 1,000 d 21.0 bcd 5.0 30.0
Winter 27 Nov 47 f 1.7 f 0.2 1.9
7 Dec 69 f 2.9 f 0.5 3.3
27 Feb 285 def 11.4 def 2.1 13.3
Spring 17 Mar 169 f 7.6 ef 1.4 9.5

1Different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at p < 0.05.

2No data means observation results do not exist.

3The nutrient uptake requirement at the experimental site for rice cultivation is N-P-k = 97-30-94 kg ha-1.

파종 후 기온과 수확기 풋거름 작물 생산량

파종 후 기온은 작물 생산량에 영향을 준다. 특히 낮은 기온은 정상적인 식물 성장에 악영향을 주며, 수확기 생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lam et al., 2022). 본 연구에서는 파종 후 1개월간 최저기온의 평균이 수확기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직선 회귀 그래프는 Fig. 2와 같다. 파종 후 1개월간 최저기온의 평균과 생산량의 결정계수 (R2)는 헤어리베치가 0.9365, 호밀이 0.8156 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 < 0.05), 파종 후 1개월간 최저기온의 평균이 증가함에 따라 수확기에 안정적인 수량을 확보할 수 있었다. 파종 시기에 따른 풋거름 작물의 생산량을 비교한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풋거름 작물을 최저 기온이 -6 ‒ -2°C로 떨어지는 10월 파종보다 4 - 6°C로 높은 기온을 보인 9월에 파종하였을 경우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kbari et al., 2019), 본 연구에서도 파종 시기가 빠를수록 생산량이 늘어나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파종 후 북부지역의 낮은 기온은 수확 후 생산량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파종 후 1개월간 최저기온의 평균을 고려하여 헤어리베치는 9월 27일, 호밀은 10월 7일 이전의 파종 시기를 선정하여 안정적인 생산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9월 27일과 10일 7일의 파종 후 1개월간 최저기온의 평균은 각각 8.9, 5.4°C로,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 풋거름 작물 파종시 제시된 온도를 참고한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파종시기 선정이 필요하다.

https://cdn.apub.kr/journalsite/sites/ksssf/2024-057-03/N0230570305/images/ksssf_2024_573_186_F2.jpg
Fig. 2.

Correlation between green manure biomass (dry weight) and the average minimum temperature during the first month after sowing (p < 0.05).

Conclusions

본 연구는 북한 지역에 적합한 풋거름 작물의 적정 파종 시기를 선발하기 위하여 황해도와 기후특성이 비슷한 우리나라 북부지역인 포천시 관인면에서 파종 시기별 작물의 생육과 양분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온도가 낮아지는 겨울 파종 시기에서 풋거름 작물의 생육과 양분 생산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파종 후 낮은 온도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또한 낮은 온도가 풋거름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직선 회귀 방정식을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헤어리베치는 파종 후 1개월간 최저기온의 평균이 8.9°C 이상인 9월 27일, 호밀은 5.4°C 이상인 10월 7일 이전의 파종시기 선정으로 안정적인 생산량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종합적으로 우리나라 포천지역의 경우 헤어리베치는 늦어도 9월 27일, 호밀은 10월 7일 전에 파종하는 것이 바이오매스 생산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추후 풋거름으로 토양에 환원 시 충분한 양분이 투입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 풋거름 작물의 생육과 양분 생산량을 고려하여 북한 지역에 적합한 풋거름 작물의 적정 파종시기를 선발한다면, 안정적인 풋거름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Funding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the “Development of fertilization management strategy for cereal crops to improve soil fertility in northern area (Project No.: PJ014837, RS-2020-RD009258)”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known competing financial interests or personal relationships that could have appeared to influence the work reported in this paper.

Author Contribution

Kim YH: Data curation, Writing-original draft, Lee CR: Data curation, Visualization, Writing-review & editing, Hwang HY: Data curation, Visualization, Writing-review & editing, An NH: Data curation, Visualization, Writing-review & editing, Jeong JA: Data curation, Visualization, Writing-review & editing, Kim SH: Data curation, Visualization, Writing-review & editing, Lee SM: Supervision, Conceptualization, Writing-review & editing

Data Availability

Data will be provided on reasonable request.

Acknowledgements

The authors thanks RDA for providing the research sites and experimental materials.

References

1

Akbari P, Herbert SJ, Hashemi M, Barker AV, Zandvakili OR. 2019. Role of cover crops and planting dates for improved weed suppression and nitrogen recovery in no till systems. Commun Soil Sci Plant Anal. 50:1722-1731. https://doi.org/10.1080/00103624.2019.1631338

10.1080/00103624.2019.1631338
2

Aslam M, Fakher B, Ashraf MA, Cheng Y, Wang B, Qin Y. 2022. Plant low-temperature stress: Signaling and response. Agronomy. 12:702. https://doi.org/10.3390/agronomy12030702

10.3390/agronomy12030702
3

Fowler DB. 1982. Date of seeding, fall growth, and winter survival of winter wheat and rye. Agronomy. 74:1060-1063. https://doi.org/10.2134/agronj1982.00021962007400060030x

10.2134/agronj1982.00021962007400060030x
4

Kim JW, Hong YK, Lee CR, Kim SC. 202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soil properti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upland fields. Korean J. Soil Sci. Fert. 56:77-89. https://doi.org/10.7745/KJSSF.2023.56.1.077

10.7745/KJSSF.2023.56.1.077
5

Kim MT, Kim KS, Park KD, Ryu JH, Choi JS, Ku JH, Kim SJ, Lee CW, Lee KD, Kang HW. 2015. Reset of cultivation zones of green manure crops under paddy field in South Korea: Focused on minimum temperature and drainage class. Korean J. Crop Sci. 60:91-96. https://doi.org/10.7740/kjcs.2014.60.1.091

10.7740/kjcs.2014.60.1.091
6

Kim YH, Lee SA. 2022. North Korea's food and agriculture trends and view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North Korea Agriculture Trends. 24:8-14.

7

Kim YH. 2023. Changes and prospects in North Korean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administration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North Korea Economic Review. 25:30-39.

8

Kir H. 2021. Determining the proper sowing time for the mixture of Hungarian vetch and triticale under continental climate conditions. Cienc Rural. 52:e20201115. http://doi.org/10.1590/0103-8478cr20201115

10.1590/0103-8478cr20201115
9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 Climat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 https://www.weather.go.kr/w/climate/statistics/nk-char.do (accessed on May 12, 2024)

10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4.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https://data.kma.go.kr/data/grnd/selectAsosRltmList.do?pgmNo=36 (accessed on May 13, 2024)

11

Kwon CH, Kim DA. 1995. Studies on the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of Early and Late Maturing Varieties of Forage Rye-(3)-Aalysis of growth influenced by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J. Kor. Grassl. Forage Sci. 15:37-42.

12

Lee S, Song J, Park SY, Kim EY, Kim Y. 2023. North Korea's Shift to Organic Farming and the Role of Microbial and Organic Fertilizers. Korean J. Soil Sci. Fert. 56:553-571. https://doi.org/10.7745/KJSSF.2023.56.4.553

10.7745/KJSSF.2023.56.4.553
13

Lim KH, Choi HS, Kim HJ, Kim BS, Kim DI, Kim SG, Kim JS, Kim WS, Lee Y. 2011. Effects of seeding time on growth and nutrient contribution of ryegrass and hairy vetch. J. Bio-Env. Con. 20:134-138.

14

Lim KH, Choi JH, Kim WS, Kim HJ, Song JH, Cho YS, Choi HS. 2014. Seasonal soil and foliar nutrient concentrations, and fruit quality in a pesticide-free pear orchard as affected by seeding timing and method of cover crops. Korean J. Environ. Agric. 33:9-16. https://doi.org/10.5338/KJEA.2014.33.1.9

10.5338/KJEA.2014.33.1.9
15

NGII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Institute). 2020. The national atlas of Korea 2. Suwon. Korea.

16

Park SJ, An YS, Jin QH, Shim WJ, Lee SJ. 2018. A Method for Predicting Soil Types in North Korea: Importance of North Korea Soil Properties and Prediction Soil Type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3:649-668.

17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22. Agricultural technology guide 91. Wanju, Korea.

18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23. Agricultural technology guide 175. Wanju, Korea.

19

Repullo-Ruibérriz de Torres MA, Moreno-García M, Ordóñez-Fernández R, Rodríguez-Lizana A, Carceles Rodriguez B, García-Tejero IF, Carbonell-Bojollo RM. 2021. Cover crop contributions to improve the soil nitrogen and carbon sequestration in almond orchards (SW Spain). Agronomy. 11:387. https://doi.org/10.3390/agronomy11020387

10.3390/agronomy11020387
20

Ryu IS. 2000. North Korea's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soil conservation. J. Korean Soc. Agric. Eng. 42:16-27.

21

Wiering NP, Flavin C, Sheaffer CC, Heineck GC, Sadok W, Ehlke NJ. 2018. Winter hardiness and freezing tolerance in a hairy vetch collection. Agrosyst Geosci Environ. 58:1594-1604. https://doi.org/10.2135/cropsci2017.12.0748

10.2135/cropsci2017.12.0748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