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rt communication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0 November 2022. 533-540
https://doi.org/10.7745/KJSSF.2022.55.4.533

ABSTRACT


MAIN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꾸지뽕 재배 농가 조사 및 시료 채취

  •   토양 이화학성 및 식물체 성분 분석

  •   통계분석

  • Results and Discussion

  •   꾸지뽕나무 재배지 농가 비료사용량

  •   꾸지뽕나무 식물체 양분함량과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

  • Conclusions

Introduction

꾸지뽕나무의 열매는 약리적 효과가 있고, 잎과 줄기는 폴리페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아시아 지역에서 약재로 이용하고 있다 (Jung et al., 2013; Byun et al., 2016). 꾸지뽕나무는 전남, 경북, 경남 지역에서 100 ha 이상 재배하는 등 국내 전 지역에서 두루 재배하고 있으나 (MAFRA, 2021), 농가에서는 표준 양분관리 지침이 없어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농업농촌공익직불법 시행으로 공익직불제 참여 농가는 공익직불법 시행규칙 제5조에 의거하여 토양검사 결과에 따라 정하는 비료량을 사용하고, 농경지 토양 화학성분 기준에 적합하도록 관리해야 한다 (Kim et al., 2020; Choi et al., 2022; MAFRA, 2022). 공익직불제 토양 화학성분 이행점검 항목은 pH, 유기물, 유효인산, 교환성 칼륨이며, 우리나라 과수 재배지의 평균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 교환성 양이온 함량은 과수토양 적정범위를 초과한 상태이다 (Kim et al., 2019; Kim et al., 2021). 토양 양분의 부족, 과다는 과수의 수량과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Li et al., 2015), 꾸지뽕나무 재배지의 토양 양분함량을 고려하여 적정 비료량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수의 양분관리를 위해서는 어떤 토양 화학성분이 수량성과 관련되고, 식물체의 양분흡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식물체 양분 결핍의 원인이 되는 토양 화학성을 판단하여 비료추천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Srivastava and Singh, 2009). 감귤류에 대해 토양 화학성과 잎이 무기성분, 과의 품질 관계를 비교한 사례가 있으며 (Li et al., 2015), 포도의 잎 인 함량과 토양 인 함량 관계를 통해 인산비료 추천기준을 설정한 사례가 있다 (Obreza et al., 2008). 국내에서는 과수토양 화학성과 작물 양분흡수 관계를 비교한 사례는 거의 없으나, 국외 연구사례와 마찬가지로 토양 화학성은 과수의 양분흡수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꾸지뽕나무의 비료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위하여 호남지역의 꾸지뽕나무 재배지를 대상으로 농가의 비료사용량과 과 수확량을 조사하고, 토양화학성과 식물체 성분함량을 분석하여 토양 화학성이 꾸지뽕나무의 양분흡수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꾸지뽕 재배 농가 조사 및 시료 채취

꾸지뽕나무의 비료사용량과 과실 수확량 조사 및 시료채취를 위해 재배면적이 가장 큰 전남 신안에서 30농가, 전남 화순에서 3농가, 전북 전주에서 1농가를 포함하여 총 34농가를 선정하였다. 조사 대상농가는 꾸지뽕나무를 재배한 지 7 - 10년에 해당하였으며, 평균 재배면적은 2,700 m2이었다. 비료사용량은 농가에서 사용한 비료의 NPK 함량을 적용하여 ha 면적 기준으로 NPK 성분량을 환산하였다. 과실 수확량은 2021년에 농가에서 출하한 물량을 10a로 환산하였다. 과실을 수확하는 시기인 2021년 9월에 꾸지뽕나무 과와 잎을 채취하였고, 토양은 지표면으로부터 15 cm 깊이까지의 표토를 수관 1 m 주변에서 5군데를 지정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토양 이화학성 및 식물체 성분 분석

토양 분석을 위해 채취한 토양은 습토와 건토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습토는 질산태질소 분석에 이용했으며, 건토는 2 mm 체로 거른 다음 pH, EC, 유기물, 총질소, 유효인산, 교환성 양이온 분석에 이용하였다. 토양화학성 분석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분석법을 따랐다 (NAAS, 2000). 토양 pH와 EC는 토양과 증류수를 1:5의 비율로 하여 진탕한 후 pH, EC meter로 측정하였다. 유기물은 Tyurin법으로 분석하고, 총질소는 C, N analyzer (Vario MAX CNS, elementar, Germany)로 분석했다. 유효인산은 Lancaster법으로 비색계 (UV-Spectrometer, Hitachi, Japan)로 분석했으며, 질산태질소는 2 M KCl로 침출하여 질소 자동분석기 (Auto analyzer 3, BRAN+LUEBBE, Germany)로 분석하고 수분함량을 보정했다. 교환성 양이온은 1 M NH4OAC (pH 7.0)으로 추출하여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광도계 (Integra XL ICP, GBC, Australia)로 분석했다.

꾸지뽕과 잎은 80°C에서 건조하여 분쇄한 후 분석했다. 건조 시료 0.5 g을 황산으로 습식 분해한 후 증류수로 희석하여 여과한 다음 질소 자동분석기로 총질소를 분석하고, 비색계로 인을 분석했으며, ICP로 K, Ca, Mg, Fe, Cu, Mn, Zn을 분석하였다 (Lee et al., 2017).

통계분석

농가의 비료사용량, 과 수확량, 과와 잎의 영양성분, 토양 화학성은 Pearson correlation으로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AS 7.13 (SAS Institute Inc., USA)을 이용했다.

Results and Discussion

꾸지뽕나무 재배지 농가 비료사용량

꾸지뽕나무 재배지의 평균 토양 화학성은 과수토양의 적정범위와 비교했을 때 적정범위 안에 속했으나, 유효인산과 교환성 칼륨은 17.6%에서 적정범위를 초과하였다 (Table 1). 농가의 비료사용량과 토양 화학성의 상관관계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2). 비료사용량은 대체로 인근 농가와 동일한 양을 주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부분 농가에서 유기질 비료를 지표면에 주고 토양과 혼합하지 않았다. 또한 꾸지뽕나무 재배지는 경사지에 위치하여 용탈에 따른 비료성분 손실로 비료사용량과 토양 화학성의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1.

The average chemical properties and distirubtion of the soils cultivated with Silkworm Thorn (Cudrania tricuspidata) (n = 34).

pH
(1:5)
EC
(dS/m)
SOM
(g kg-1)
NO3-N
(mg kg-1)
T-N
(g kg-1)
Avail. P2O5
(mg kg-1)
Exch. cations (cmolc kg-1)
K Ca Mg
Average + SD
(range)
6.9 ± 0.8
(5.6 - 8.2)
0.3 ± 0.1
(0.2 - 0.5)
17 ± 7.7
(7 - 44)
2.2 ± 2.5
(0.3 - 9.1)
1.2 ± 0.3
(0.8 - 1.9)
387 ± 196.2
(64 - 811)
0.56 ± 0.24
(0.21 - 1.46)
6.4 ± 1.8
(3.5 - 10.9)
1.9 ± 0.4
(1.0 - 2.6)
Optimum range 6.0 - 7.0 <2.0 20 - 30 - - 300 - 550 0.50 - 0.80 5.0 - 6.0 1.5 - 2.0
Distribution
of soil
samples
(%)
Sub
optimal
20.6 100.0 76.5 - - 26.5 38.2 23.5 20.6
Optimal 38.2 - 14.7 - - 55.9 44.1 11.8 38.2
Super
optimal
41.2 - 8.8 - - 17.6 17.6 64.7 41.2

Standard deviation; Optimum range of chemical properties in the orchard soils (NIAS, 2019).

Table 2.

Correlation betwee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fertilizer application rates of the Silkworm Thorn (Cudrania tricuspidata) orchard land (n = 34).

pH EC SOM NO3-N T-N Avail. P2O5 Ex. K Ex. Ca Ex. Mg
N fert. 0.041 0.292 -0.290 0.159 -0.070 0.102 0.170 0.062 -0.249
P fert. 0.352 -0.008 -0.370* -0.169 -0.312 0.056 -0.067 -0.108 -0.253
K fert. -0.107 0.371 -0.088 0.293 0.074 0.103 0.255 0.146 -0.203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p < 0.05

비료사용량을 조사한 34농가 중 27농가에서 유박 비료로 양분을 공급했으며, 평균 유박 사용량은 3,930 kg ha-1이었다. 유기질비료 사용량을 포함한 꾸지뽕나무 재배지의 평균 비료사용량은 질소-인산-칼리 = 267-89-102 kg ha-1으로서 (Table 3), 꾸지뽕나무 유사작물인 뽕나무의 비료 표준사용량인 질소-인산-칼리 = 250-110-150 kg ha-1와 비교했을 때 질소와 인산 비료량은 유사하였다 (NIAS, 2019).

Table 3.

The fruit yield and nutrient uptake of the Silkworm Thorn (Cudrania tricuspidata) (n = 34).

Fruit yields
(Mg 10a-1)
Amount of fertilizer application (kg ha-1) Nutrient uptake of fruit (kg ha-1)
N P2O5 K2O N P2O5 K2O
Maximum 1.95 514 172 214 45 28 89
Minimum 0.30 53 30 33 6 3 14
Average + SD 0.83 267 ± 122 89 ± 41 102 ± 53 20 ± 10 11 ± 6 41 ± 16

Planting density: 660 trees per ha.

뽕나무는 매년 지상부를 제거하여 지상부 생체량을 키우기 위한 양분이 소모되지만, 꾸지뽕나무는 가지치기 외에는 뽕나무와 같이 지상부를 제거하지 않고 과실 수확에 의해 양분이 제거된다. 조사지역의 과실 양분흡수량은 평균 20 kg ha-1로 농가 평균 질소비료 사용량의 약 7.5%에 해당되었다. 다른 과수의 질소흡수량과 비교해보면, 사과는 100 kg ha-1, 포도는 170 kg ha-1로 꾸지뽕나무의 과실 양분흡수량보다 5 - 8.5배 많았다 (Srivastava et al., 2021). 사과 성목은 토양 유기물 함량이 15 g kg-1 이하일 때 질소 시비량 200 kg ha-1을 추천하는데 (NIAS, 2019), 사과 과실 흡수량은 질소 시비량의 50%에 해당되는 것과 비교할 때 꾸지뽕나무의 과실 흡수량 대비 질소비료 사용량은 많은 편이었다.

나무는 비료를 주면 일부는 생체량을 키우는데 이용하고 나머지는 저장하는 특성이 있는데, 경작자는 질소 이용효율이 낮다고 판단하여 과실수의 필요 양분량보다 과다하게 비료를 주는 경향이 있다 (Carranca et al., 2018). 과실수의 적정 비료공급량은 과실의 수확으로 인해 제거되는 양분의 양과 잎, 뿌리 등 식물체 생장량을 반영해야 하나 (Menino et al., 2007), 토양 비옥도가 낮지 않은 경우는 과실의 양분흡수량에 비료 이용효율을 적용하여 비료량을 구한다 (Carranca et al., 2018).

과실 이외에 잎, 가지 등의 양분이용을 감안해야 농가 비료사용량 대비 꾸지뽕나무의 비료사용량이 얼마나 많은지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실 이외의 양분흡수량은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뽕나무의 과실 흡수량 (Table 2)에 문헌을 통해 확인한 과실수의 질소비료 회수율 25 - 55%을 적용하여 적정 비료량을 추정하면 (Carranca, 2012), 질소비료의 이용효율 25%를 적용할 경우 적정 비료량은 평균 80 kg ha-1에서 최대 180 kg ha-1이 되고, 질소비료 이용효율을 55%로 가정하면 적정 비료량은 평균 36 kg ha-1에서 최대 82 kg ha-1이 된다. 꾸지뽕나무 재배농가의 평균 비료사용량인 267 kg ha-1과 추측한 최소 적정 질소 비료량인 36 kg ha-1, 최대 질소 비료량 180 kg ha-1을 비교할 때 농가에서 비료를 약 1.5 - 7.4배 과다하게 공급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꾸지뽕나무 식물체 양분함량과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

꾸지뽕나무 과 수확기에 채취한 잎과 과실의 무기성분 함량은 Table 4에 제시하였다. 칼슘, 철, 망간의 평균 함량은 과실보다 잎에서 각각 8.6배, 3.1배, 8.6배 많았으며, Choi et al. (2015)이 꾸지뽕나무 부위별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Table 4.

The average nutrient content of leaf and fruit of the Silkworm Thorn (Cudrania tricuspidata) (n = 34).

N
(%)
P
(%)
K
(%)
Ca
(%)
Mg
(%)
Fe
(mg kg-1)
Cu
(mg kg-1)
Mn
(mg kg-1)
Zn
(mg kg-1)
Leaf 1.7 ± 0.31
(1.3 - 2.7)
0.9 ± 0.41
(0.3 - 1.8)
2.0 ± 0.56
(0.9 - 3.2)
6.0 ± 0.93
(3.9 - 7.9)
0.6 ± 0.16
(0.3 - 0.9)
132.0 ± 30.80
(78.4 - 215.6)
10.8 ± 3.06
(5.3 - 15.4)
157.9 ± 102.85
(30.4 - 522.1)
28.5 ± 9.10
(11.1 - 58.5)
Fruit 1.5 ± 0.39
(0.9 - 2.6)
0.8 ± 0.16
(0.4 - 1.1)
3.1 ± 0.61
(1.8 - 4.7)
0.7 ± 0.29
(0.1 - 1.5)
0.3 ± 0.06
(0.1 - 0.3)
42.9 ± 9.66
(23.5 - 61.0)
8.8 ± 3.63
(1.2 - 14.6)
18.3 ± 7.02
(3.6 - 36.7)
8.4 ± 3.75
(1.3 - 16.6)

꾸지뽕나무 재배지의 비료사용량, 토양화학성과 잎, 과실의 무기성분 간에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Table 5). 질소비료와 인산비료 사용량은 잎의 질소함량과 음의 상관을 보였고, 과의 양분함량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사용한 질소비료의 대부분은 꾸지뽕나무의 잎에 흡수되지 않았고, 과실로의 양분 전이율 또한 낮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Table 5.

Correlation among fertilizer application rates,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nutrient content of fruit and leaf of the Silkworm Thorn (Cudrania tricuspidata) (n = 34).

N fert. P fert. K fert. pH EC SOM NO3-N T-N Avail. P2O5 Ex. K Ex. Ca Ex. Mg K/(Ca+Mg)
Leaf N -0.463* -0.511* -0.249 -0.391 0.098 0.448* 0.327 0.179 0.052 0.188 0.042 0.051 0.195
P 0.059 0.297 -0.110 0.299 -0.460* -0.424* -0.528** -0.290 -0.300 -0.320 -0.288 0.136 -0.225
K -0.309 -0.340 -0.262 0.018 0.037 0.147 0.134 0.229 0.174 0.194 -0.115 0.110 0.192
Ca 0.204 0.533* 0.013 0.034 -0.177 -0.261 -0.264 -0.246 -0.021 -0.257 -0.194 -0.238 -0.181
Mg -0.279 -0.235 -0.203 -0.236 -0.244 -0.113 -0.123 0.078 -0.276 -0.153 -0.211 0.370* -0.100
Fe 0.088 0.189 0.054 -0.167 -0.172 0.236 0.306 0.046 0.039 0.205 -0.407* 0.091 0.278
Cu 0.182 -0.492* 0.358 -0.210 0.152 -0.057 0.058 0.242 -0.126 -0.057 0.145 0.183 -0.101
Mn -0.099 -0.127 -0.078 -0.333 -0.151 0.121 0.201 0.119 0.187 0.462* -0.576** -0.124 0.614**
Zn -0.154 -0.109 -0.163 -0.438* -0.246 0.028 0.191 0.060 0.189 -0.085 -0.434* -0.214 0.018
Fruit N -0.264 -0.122 -0.164 -0.312 0.346* 0.587** 0.451* 0.295 0.243 0.020 0.209 0.057 -0.066
P 0.022 0.328 -0.138 0.320 -0.185 -0.386* -0.404* -0.246 -0.136 -0.333 -0.083 0.162 -0.289
K 0.078 -0.244 0.194 -0.258 0.374* 0.140 0.500** 0.320 0.495* 0.229 0.200 0.016 0.125
Ca -0.033 -0.048 -0.080 0.147 0.125 -0.206 -0.005 0.176 0.110 -0.185 0.151 0.202 -0.250
Mg 0.005 -0.221 0.069 -0.221 -0.112 -0.195 0.123 0.194 0.022 -0.135 0.018 0.257 -0.176
Fe -0.294 -0.099 -0.268 -0.162 0.186 0.385* 0.351* 0.291 0.194 0.054 0.128 0.194 -0.014
Cu -0.093 -0.497* 0.087 -0.206 0.207 0.158 0.184 0.354* 0.007 -0.192 0.293 0.401* -0.277
Mn -0.130 -0.201 -0.058 -0.334* 0.036 0.206 0.290 0.369* 0.204 0.225 -0.188 0.158 0.255
Zn -0.061 -0.286 0.088 -0.344* -0.059 0.235 0.044 0.239 -0.159 -0.207 0.202 0.298 -0.273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p < 0.05; **p < 0.001

토양화학성과 식물체 무기성분을 비교해보면, 토양 pH, 교환성 칼슘은 잎과 과실의 아연, 망간과 유의한 음의 상관을 보였다. pH가 높은 알칼리 토양과 석회질 토양에서는 식물의 미량원소 유효도가 제한되고 (Deckers and Steinnes, 2004; Gupta et al., 2008), Lee et al. (2010)은 단감 재배지 표토의 pH와 망간 함량이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다고 하였다. 꾸지뽕나무의 망간, 아연 함량 또한 토양 pH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과실의 질소와 칼륨 함량은 EC, 질산태질소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물이 칼륨을 흡수할 때 질산태질소는 동반 이온으로 같이 이동하며 (Pettersson, 1984), 질산태질소의 흡수는 칼륨 흡수를 증진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Zhang et al., 2010).

과의 인 함량은 토양 유기물과 질산태질소 함량과 음의 상관을 보였고 유효인산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토양에서 대부분의 인은 유기태로 존재하지만 미생물의 분해과정에서 부동화가 되고, 이동성이 낮아 식물이 이용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Schachtman et al., 1998).

잎의 망간 함량은 교환성 칼륨, 칼륨염기비 (K/(Ca+Mg))와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식물의 망간 흡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mani and Kannan, 1974; Monreal et al., 2016).

잎과 과실의 질소 함량은 토양 유기물과 양의 상관이 있었는데, 토양 유기물 함량이 직접적으로 작물의 질소 흡수에 영향을 주었기보다는 토양에 공급된 유기물질이 무기화되면서 꾸지뽕나무가 질소 성분을 흡수했기 때문에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유기물 함량이 많으면 질소 무기화를 통해 식물의 질소 흡수를 높여 작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Booth et al., 2005; King et al., 2020).

국립농업과학원의 작물별 비료사용처방 기준 (NIAS, 2019)은 노지 밭작물의 경우 질소비료는 토양 유기물 함량에 따라 비료량을 가감하여 추천한다. 꾸지뽕나무 재배지 중 토양 유기물 적정범위를 초과한 2개 농장에서만 과실의 질소함량이 높게 나와 토양 유기물 함량이 높은 곳에 대한 추가적인 과실 질소함량 조사가 필요하지만, 토양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대체로 과실의 질소 성분함량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Fig. 1). 따라서 꾸지뽕나무의 질소 비료량 추천에 토양 유기물 함량과 과실 질소함량 관계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ssf/2022-055-04/N0230550425/images/ksssf_2022_554_533_F1.jpg
Fig. 1.

Relationship between soil organic matter and nitrogen content of the Silkworm Thorn (Cudrania tricuspidata) fruit (n = 34).

Conclusions

꾸지뽕나무의 과실 흡수량은 다른 과수에 비해 적었으며, 농가의 평균 질소비료 사용량은 주요 수확부위인 과실의 흡수량을 감안했을 때 과다하게 공급하는 경향이 있었다. 농가의 질소비료 사용량이 많을수록 오히려 잎의 질소 함량이 감소했고, 과의 질소 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투입된 질소비료의 과실로의 양분 전이율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토양 화학성 중 pH, EC, 질산태질소, 유기물 함량은 식물체 잎과 과실의 양분함량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토양 유기물 함량은 식물체의 질소흡수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토양 유기물 함량과 식물체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꾸지뽕나무의 토양검정 비료사용기준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No. PJ0155770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1
Booth, M.S., J.M. Stark, and E. Rastetter. 2005. Controls on nitrogen cycling in terrestrial ecosystems: A synthetic analysis of literature data. Ecol. Monogr. 75:139-157. 10.1890/04-0988
2
Byun, E.B., B.S. Jang, N.Y. Sung, and E.H. Byun. 2016.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separ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8):1099-1106. 10.3746/jkfn.2016.45.8.1099
3
Carranca, C. 2012. Nitrogen use efficiency by annual and perennial crops. p. 57-82. In E. Lichtfouse (ed.) Farming for Food and Water Security, Sustainable Agriculture Reviews, Volume 10. Springer Science, Dordrecht, The Netherlands. 10.1007/978-94-007-4500-1_3
4
Carranca, C., G. Brunetto, and M. Tagliavini. 2018. Nitrogen nutrition of fruit trees to reconcile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concerns. Plants 7(4):1-12. 10.3390/plants7010004
5
Choi, D.J., Y.J. Lee, Y.K. Kim, M.H. Kim, S.R. Choi, S.S. Kim, and A.R. Youn. 2015.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Kkujippong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from Miryang. 10.9724/kfcs.2015.31.4.510
6
Choi, J.Y., Y.U. Yun, S.H. Choi, J.I. Lee, and Y.J. Lee. 2022. Effects of NPK fertilization on yield and fertilizer use efficiency of ‘Altari’ Radish (Raphanus sativus L.). Korean J. Soil Sci. Fert. 55(2):92-101. 10.7745/KJSSF.2022.55.2.093
7
Deckers, J. and E. Steinnes. 2004. State of the art on soil-related geo-medical issues in the world. Adv. Agron. 84:1-35. 10.1016/S0065-2113(04)84001-X
8
Gupta, U.C., W.U. Kening, and S. Liang. 2008. Micronutrients in soils, crops, and livestock. Earth Sci. Front. 15(5):110-125. 10.1016/S1872-5791(09)60003-8
9
Jung, G.T., I.O. Ju, S.R. Choi, D.H. You, and J.J. Noh. 2013. F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its various maturation stages. Korean J. Food Preserv. 20:330-335. 10.11002/kjfp.2013.20.3.330
10
Kim, H.J., S.K. Kim, S.W. Kim, K.J. Kwak, and O.D. Kwon. 2021.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orchard soils in Jeonnam province between 2002 and 2018. Korean J. Soil Sci. Fert. 54(1):1-9. 10.7745/KJSSF.2021.54.1.001
11
Kim, T.H., Y.A. Kim, and J.H. Lim. 2020. Reforming direction of optional direct payments for enhancing public benefits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p. 71-11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12
Kim, Y.H., M.S. Kong, M.J. Chae, E.J. Lee, T.G. Lee, and G.B. Jung. 2019. Statu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orchard soils in Korea. p. 78.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Symposium, Jinju, Korea.
13
King, A.E., G.A. Ali, A.W. Gillespie, and C. Wagner-Riddle. 2020. Soil organic matter as catalyst of crop resource capture. Front. Environ. Sci. 8:50. 10.3389/fenvs.2020.00050
14
Lee, Y.H., S.T. Choi, S.T. Lee, K.P. Hong, W.D. Song, J.H. Lee, and J.S. Cho. 2010. Changes in Fe, and Mn content and lime requirement based on soil pH testing in sweet persimmon fields. Korean J. Soil Sci. Fert. 43(5):462-467.
15
Lee, Y.J., J.K. Sung, S.B. Lee, J.E. Lim, Y.S. Sung, D.B. Lee, and S.Y. Hong. 2017. Plant analysis methods for evaluating mineral nutrient. Korean J. Soil Sci. Fert. 50(2):93-99. 10.7745/KJSSF.2017.50.2.093
16
Li, Y., M.Q. Han, F. Lin, Y. Ten, J. Lin, D.H. Zhu, P. Guo, Y.B. Weng, and L.S. Chen. 2015. Soil chemical properties, ‘Guanximiyou’ pummelo leaf mineral nutrient status and fruit quality in the southern region of Fujian province, China. J. Soil Sci. Plant Nutr. 15(3):615-628. 10.4067/S0718-95162015005000029
17
MAFRA. 2021. Agricultural business registration information: Crop cultivation area statistics. http://uni.agrix.go.kr/docs7/biOlap/fixType.do?reportId=eqpt_oudor_area_item .
18
MAFRA. 2022. Manual of direct payments for enhancing public benefits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19
Menino, M.R., C. Carranca, and A. De Varennes. 2007. Distribution and remobilization of nitrogen in young non-bearing orange trees grown under Mediterranean conditions. J. Plant Nutr. 30:1083-1096. 10.1080/01904160701394543
20
Monreal, C.M., M. DeRosa, S.C. Mallubhotla, P.S. Bindraban, and C. Dimkpa. 2016. Nanotechnologies for increasing the crop use efficiency of fertilizer-micronutrients. Biol. Fertil. Soils. 52(3):423-437. 10.1007/s00374-015-1073-5
21
NAAS. 2000. Soil and plant analysis method.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Suwon, Korea.
22
NIAS. 2019. Fertilizer recommendation for crop production (4th ed.).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Jeonju, Korea.
23
Obreza, T.A., R.E. Rouse, and K.T. Morgan. 2008. Managing phosphorus for citrus yield and fruit quality in developing orchards. HortScience 43(7):2162-2166. 10.21273/HORTSCI.43.7.2162
24
Pettersson, S. 1984. Effects of nitrate on influx, efflux and translocation of potassium in young sunflower plants. Physiol. Plantarum. 61:663-669. 10.1111/j.1399-3054.1984.tb05188.x
25
Ramani, S. and S. Kannan. 1974. Effects of certain cations on manganese absorption by excised rice roots. Commun. Soil Sci. Plant Anal. 5:435.439. 10.1080/00103627409366520
26
Schachtman, D.P., R.J. Reid, and S.M. Ayling. 1998. Phosphorus uptake by plants: From soil to cell. Plant Physiol. 116(2):447-453. 10.1104/pp.116.2.4479490752PMC1539172
27
Srivastava, A.K. and S. Singh. 2009. Citrus decline: Soil fertility and plant nutrition. J. Plant Nutr. 32(2):197-245. 10.1080/01904160802592706
28
Srivastava, A.K., Q.S. Wu, S.M. Mousavi, and D. Hota. 2021. Integrated soil fertility management in fruit crops: An overview. Int. J. Fruit Sci. 21(1):413-439. 10.1080/15538362.2021.1895034
29
Zhang, F., J. Niu, W. Zhang, X. Chen, C. Li, L. Yuan, and J. Xie. 2010. Potassium nutrition of crops under varied regimes of nitrogen supply. Plant Soil 335(1):21-34. 10.1007/s11104-010-0323-4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